사회정책7 연봉계산기와 연봉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줘. 📌 연봉 계산기와 연봉 계산 방법✅ 연봉 계산기란?연봉 계산기는 세금,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등을 반영하여 실제 수령하는 월급(실수령액)을 계산해 주는 도구입니다.1️⃣ 연봉 계산하는 방법연봉에서 세금 및 4대 보험을 차감한 실수령액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1. 연봉에서 월급 계산연봉 ÷ 12개월 = 세전 월급예) 연봉 3,600만 원이라면 → 월급 300만 원 (세전)2. 4대 보험료 공제국민연금: 월급의 4.5%건강보험: 월급의 3.545%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81%고용보험: 월급의 0.9%예) 세전 월급 300만 원인 경우, 4대 보험료 총액은 약 30~35만 원 수준3. 세금 공제소득세: 급여 수준별로 차등 적용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예) 세전 월급 300만 원일.. 2025. 3. 5. 2025년 최저임금 시급 일급 월급 계산기 최저임금제도 📌 2025년 최저임금 안내2025년 대한민국의 최저임금은 시간당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 최저임금 세부 내역시급 10,030원일급 80,240원 (8시간 근무 기준)월급 (2,096,270원 (주 40시간 근무 및 주휴수당 포함, 월 209시간 기준)🏛 *최저임금 제도란?최저임금제도는 근로자의 생활 안정을 위해 국가가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하고, 사업주가 이를 준수하도록 법으로 강제하는 제도입다.*적용 대상: 근로자 1인 이상을 고용하는 모든 사업장과 근로자에게 적용됩니다.*미준수 시 처벌: 최저임금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사업주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2025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최저임금을 준수하여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 .. 2025. 2. 23. 2025년 국민연금 인상, 연령별 요율, 계산법 한눈에 정리! - 지역가입자 🔹 요약2025년부터 국민연금 요율이 연령별로 달라지고 최대 1% 인상됩니다.국민연금 납부 대상은 월 소득 40만 원 이상이며, 최저·최고 기준 금액도 변경됩니다.직장인은 사업주와 반반 부담하지만, 프리랜서는 100%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직접 연금보험료를 계산하려면 국민연금 계산기를 활용하세요.2025년 국민연금 요율 및 계산법 총정리국민연금은 만 18세 이상 소득이 있는 사람이라면 만 60세까지 납부해야 하는 사회보험입니다.2025년부터는 연령대별 국민연금 요율이 달라지며, 최저 및 최고 기준 금액도 상향 조정됩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2025년 국민연금 변경 사항과 연금 계산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2025년 국민연금 변경 사항✅ 납부 대상: 월 소득 40만 원 이상인 만 18세 이상 ~ 만 6.. 2024. 6. 26. 실업급여 고용보험 신청방법 계산기 실업금액 여러가지 이유로 퇴사를 하는 경우? 실업급여가 궁금하시다면? ● 실업급여란?회사의 사정이나 근로자의 사정으로 직장을 나오게 되는 경우 근로자의 재취업이나 교육을 지원하는 사회 보험입니다. ● 실업급여를 받는 조건기본적인 조건에는 4가지가 있는데요.- 180일 이상 근무- 원치않은 퇴사(회사에서 퇴사 요구)- 실업중인 상태- 구직활동을 적극적으로 하기(지정기간동안 최소 2번이상) 스스로 원해서 퇴사하는 경우에도 실업급여를 받도록 인정해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회사 이전으로 출퇴근이 멀어진 경우- 배우자 부양 가족 동거를 위한 이사로 출퇴근이 멀어지는 경우- 타지역 사업장으로 전근출퇴근이 왕복 3시간 이상 걸리게 된다면 실업급여를 받는게 가능합니다.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참고해주세요.고용보험 상실 코드 구직.. 2024. 6. 11. 연금저축 개인연금 사적연금 연금제도 국민연금만으로는 살아갈 수 없는 시대이다.내 노후를 위하여 추가로 준비해야 할 연금에 대해 알아보자. ●개인연금이란?개인이 직접 선택 가입하여 운영하는 연금제도이다.국민연금은 근로자에게 국가가 강제로 가입하게하는 제도라면, 개인연금은 충분하지 않은 국민연금에 더하여 국민 스스로 노후 자금을 준비하도록 세금공제 혜택을 주는 제도이다. ●개인연금 세금 공제 혜택개인연금에는 크게 연금저축과 개인형퇴직연금(IRP)가 있다.연간 근로소득이 5500만원 미만이면 16.5%, 넘으면 13.2%를 돌려받는다. 개인연금은 오랫동안 가입하고 은퇴 후 노후에 찾아쓰도록 만든 제도이기 때문에 가입 후 중도 해지를 하는 경우 혜택을 뱉어내야 한다. ●연금저축 세금 공제 혜택 연금저축은 최대 연간 180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 2024. 6. 10. 마이너스 통장 은행 한도 기준 조건 마통 위험성 마이너스 통장 하나쯤은 갖고 계신가요? 아님 만들 계획이신가요? 저는 최근에 인생에서 큰 일을 하나 겪었습니다. 마통의 위험성에 대한 무지로 인해 생각도 못한 문제를 만나고 말았습니다. 제 이야기는 마지막에 할게요.... ● 마이너스 통장이란?마이너스 통장 (일명 마통)이란 은행의 대출 상품의 한 종류로 정식 이름은 한도 대출이라고 합니다. 은행에서 내 계좌에 약정을 걸고 한도를 설정해주면 약정 금액까지 잔액이 마이너스로 나가는 형태입니다. 내 계좌 한도 내에서 원하는 금액 만큼 원하는 시기에 빼서 쓸 수 있는, 잘 쓰면(매우 중요) 유용한 상품입니다. 하지만 잘못쓰면...망... ● 마이너스 통장의 한도마이너스 통장의 한도는 개인의 신용도와 소득에 따라 정해집니다. 안정적인 회사를 다니며 연소득이 많.. 2024. 5. 30. 2024년 최저임금 시급 일급 월급 계산기 최저임금제도 2024년 최저임금은 얼마일까요?바로 시급 9,860원으로 2023년 전년 대비 240원 인상되었습니다.일급은 8시간 기준 78,880원월급은 주 40시간 기준으로 2,060,740원이라고 하네요. ● 최저임금제란? 최저임금제도는 노동의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하여 근로자에게 해당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약속하는 제도입니다. 이렇게 제도화하여 강제함으로써 근로자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임금은 회사와 근로자가 서로간의 협의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나, 회사와 근로자는 대등한 위치가 아니기에 실제 임금이 적정한 수준으로 이뤄지기 어렵게 됩니다. 또, 모든 회사에 노동조합이 있지 않으므로 적정한 임금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최저임금제를 바탕으로 강제에 의한 근로자의 임금을 보호하려는 것입니다... 2024. 5. 29. 이전 1 다음